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Bloomberg] 코로나19 끝난 줄 알았지? 이제 시작이야 각오해!

해외뉴스번역

by 오동나라 2020. 3. 7. 01:46

본문

반응형

Comment

코로나바이러스은 주식시장의 침체를 가져올 것인가?

이 기사에서 이번 코로나바이러스 사태가 종전 여러 사건, 사우디 유전 공격 혹은 이란 고위 간부 암살 등 때와는 다르게 V자 반등이 안될 수도 있다고 주의를 주고 있다.

 

그러나 일부 동의는 하지만 대체로 동의하지 않는다. (반등할 것이다.)

 

코로나바이러스는 생산과 소비 두 측면 모두를 건드렸다는 점에서 주의를 요할 필요가 있다.

 

현재 중국에 있는 공장들에서 인력이 이탈하여 다국적 기업의 생산에 큰 타격이 있다.

 

2월 18일 한국시간 기준 오후 1시경, 실제로 애플이 생산 차질에 따른 생산 감소로 매출 예상 및 영업실적을 축소했고 발표했다.

 

이는 코스피와 나스닥 선물 지수의 하락을 초례했다.

 

애플이 당장 생산을 못하더라도 이는 단지 판매가 미뤄졌을 뿐이고 성장이 미뤄졌을 뿐이다.

 

즉, 기업의 펀더멘탈은 변화가 없으므로 일시적 하락일 것으로 예상한다.

 

그리고 문제는 생산이 아닌 소비이다.

 

소비가 언제 다시 올라오느냐가 중요하다.

 

현재 중국을 비롯한 세계 코로나바이러스의 확산은 감소 추세로 돌아섰고 치사율도 크게 높지 않다.

 

시장은 이미 이를 반영하고 전에 하락했던 폭을 되돌림 한 상태이다.

 

때문에 코로나바이러스로 인해 어느 특정 악재가 추가적으로 터지지 않는 한 보합국면으로 들어설 것으로 보인다.

 

이 기사에서 동의하는 부분은 재정적 급정거와 경제적 급정거의 차이가 있다는 것이다.

 

재정적 급정거는 쉽게 말해 리만브라더스 사태같이 급작스러운 유동성 악화로 경제의 타격이 연쇄적으로 그리고 실시간으로 나타나는 것이다.

 

반면, 경제적 급정거는 이번 사태와 같이 공급이 막히고 한 지역에서 다른 지역으로 그리고 세계로 타격이 뻗칠 때까지 시간이 꽤나 걸린다는 것이다.

 

즉, 이번 사태는 끓는 물속의 개구리와 같이 서서히 경제를 마비시킬 수도 있다는 것인데

 

중국은 공격적인 유동성 공급을 실시했고 미국은 경제 불황이 찾아오면 시장에 유동성 공급을 해주겠다는 시그널을 보내고 있다.

 

현재의 경제 상황은 유동성 공급으로 연명하고 있다는 것을 주의할 필요가 있고 종전 여러 사건에서 보인 주가 하락과는 다르게 중국의 생산과 소비가 회복하기까지 주가 렐리의 재개는 다소 시간이 걸릴 가능성이 농후하다.

출처: Investing.com
출처: Investing.com

앞으로의 전망은?

중국의 경제 생태계 변화를 주목해야겠다.

 

이번 사태로 시진핑 주석은 정치적으로도 타격이 있었고 중앙집권적인 경제 정책이 강제적으로 점차 완화될 가능성 커졌다.

 

무엇보다 이번 유동성 공급이 꽤 크므로 앞으로의 환율은 반드시 하락할 것으로 보인다.

 

그리고 지속적으로 제기 되어왔던 회계 장부상에 없는 그림자 금융을 보면 향후 갚을 수 있을까 의심스럽다.

 

대출 규제를 완화하여 부동산 버블을 이끌고 있는데 현재 진행 중인 코로나바이러스 불안으로 버블이 꺼진다면 종잡을 수 없는 위기가 시작된다.

 

중국으로부터 위기가 온다면 부동산 버블이 꺼지는 것이 시발점이 될 것이다.

 

한국 경제로써는 중국 의존도가 높기 때문에 피해가 불가피할 것으로 보이는데 그 영향은 중견, 중소기업의 피해가 클 것으로 예상한다.

 

삼성전자나 타 대기업은 버틸 여력이 있을 뿐 아니라 단지 일시적인 수요의 부재이기 때문에 타격은 적을 것으로 예상하며 점점 시가총액 상위 종목과 하위 종목의 갭은 커질 것이다.

 

News

Economists Shouldn’t Rush to Predict Quick Virus Rebound

경제학자들은 바이러스에 따른 반등을 서둘러 예측해선 안된다.

-They are embracing a V recovery in a still highly uncertain world.

그렇지만 그들은 높은 글로벌 불확실성 가운데 V자 회복세를 받아들이고 있다.

 

More than three weeks after the shock from the coronavirus outbreak resulted in an across-the-boardsell-off in U.S. stocks and other risk assets, several indexes are back at record levels. This sharp V pattern repeats the experience of two other unanticipated shocks in the last six months: the September attack on Saudi Arabian oil production that took out half of daily output and the January U.S. missile attack that killed a senior Iranian general. It is a pattern that illustrates the now deeply ingrained investor conditioning of “buy the dip” in the fear of missing out on yet another profitable opportunity.

코로나바이러스 발병의 충격으로 미국 주식과 다른 위험 자산의 전체적인 매도세가 있은 지 3주 후, 몇몇 지표가 기록적인 수준으로 회복되었다. 이 가파른 V자 패턴은 지난 6개월 동안 예상치 못한 두 번의 충격으로 나타났다: 일일 생산량의 절반을 앗아간 9월에 있던 사우디 아라비아 석유 생산에 대한 타격과 1월에 있던 이란의 고위 장성을 죽인 미국의 미사일 공격이다. 이는 또 다른 수익성 있는 기회를 놓칠 것을 우려하여 "빠질 때 사라"고 하는 투자자들에게 현재 깊게 뿌리박혀 길들여진 패턴이다.

 

The similarities also go well beyond what has transpired in terms of prices. They also involve the signals sent by central banks. Accompanied by a supportive economic narrative, this has reinforced the notion that this is yet another shock that is temporary, containable and quickly reversible. Yet the markets have yet to internalize an important difference: This shock is taking longer to reverse itself on the ground, and the longer that persists, the deeper and the broader the economic damage.

또한 가격에 대해 유사함을 보인다. 중앙은행에서 보내는 신호도 포함한다. 긍정적인 경제 측면에서 말하자면, 이것이 일시적이며 억제 가능하고 빠르게 되돌릴 수 있는 또 한 번의 충격일 뿐이라는 인식을 강화시켜왔다. 그러나 시장은 중요한 차이를 알아차릴 필요가 있다: 이 충격은 반등하기까지 더 오랜 시간이 걸리며 오래 지속될수록 경제적 피해는 더 깊고 넓어진다는 것이다.

 

After declines of 2.5 percent between Jan. 23 and Jan. 27 and 1.8 percent on the last day of the month — both due to coronavirus concerns — the S&P 500 Index roared back to a record close at the end of last week. The Dow Jones Industrial Average and the Nasdaq stock indexes have behaved similarly, as have many others around the world.

코로나바이러스 우려로 1월 23일과 1월 27일 사이에 2.5%와 1월 마지막 날 1.8% 하락 이후, S&P 500 지수는 지난주 수준으로 반등하여 장을 마쳤다. 다우존스 산업 평균 지수와 나스닥 주가 지수도 비슷한 움직임을 보여왔으며 전 세계적으로 많은 지수들이 이러했다.

 

This “V” pattern has been mirrored in the VIX, the volatility index that is often referred to as a gauge of market fear. It spiked to 18.5 and again 19.5 before declining steadily to close at less than 14 on Friday. The pattern has been less pronounced, however, when it comes to the behavior of yields on U.S. Treasuries and is almost absent for many segments of the commodities markets. This sheds light on the influence of central banks on both the price behavior and underlying investor conditioning in the markets.

"V" 패턴은 시장 공포의 척도로 언급되는 변동성 지수인 VIX를 반영해왔다. 이 지수는 18.5까지 치솟았고 19.5로 한 번 더 치솟다가 금요일에는 14를 밑돌며 마감했다. 그러나 이 패턴은 미국 국채 수익률 추이를 크게 대변하지 못해왔고 많은 원자재 시장이 빠져있다. 이것은 시장에서 주가 형태와 근본적인 투자자의 마음가짐에 대한 중앙은행이 끼치는 영향을 조명한다.

 

As in the case of other shocks in recent years, the initial coronavirus sell-off prompted central banks to signal their awareness of the heightened risk to growth and their readiness to provide stimulus should this risk translate into growth weakness. This was particularly the case for the People’s Bank of China and the Federal Reserve. Both signaled that they were monitoring developments carefully, reinforced their commitment to timely policy responsiveness and, in the case of the PBOC, loosened monetary policy through both lower interest rates and huge direct provision of liquidity.

최근 몇 년 동안 다른 충격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초기 코로나바이러스 매도세는 중앙은행들이 성장에 대해 높아진 위험을 인식하고 있다는 신호와 더불어 이러한 위험이 성장에 대한 약점으로 전환될 경우 부양책을 제공할 준비가 되어 있음을 나타냈다. 특히 중국 인민은행과 연방준비제도이사회(FRB)가 그랬다. 두 주체 모두 성장률을 주의 깊게 모니터링했었고 시의적절한 정책 대응에 대한 약속을 강화했으며, PBOC의 경우, 금리 인하와 대량의 직접 유동성 공급을 통해 통화 정책을 완화했다.

 

Interestingly, the consensus economic narrative has also embraced a V pattern for the growth impact, both within China and globally, despite the high level of uncertainty associated with the evolution of this particular shock. The result is a host of projections that incorporate lower growth this quarter followed by a rebound in the next one, with limited impact on the year as a whole. It is a pattern that both supports the market price action in stocks and, I suspect, is also heavily influenced by it.

흥미롭게도, 합의된 경제적 견해로 이 특정 충격에 대한 확산과 관련된 높은 수준의 불확실성에도 불구하고 중국 및 전 글로벌 속에서 성장에 대한 V자 패턴을 수용해왔다. 이 결과로 이번 분기의 저성장에 이어 다음 분기의 반등과 함께 올해 전체에 미치는 영향은 제한적이라는 것이 대다수의 예측이다. 이 패턴은 두 주체 모두 주식시장을 지원하며 추측건대, 주식시장은 이에 큰 영향을 받는다.

 

The speed with which the economic consensus in the marketplace embraced the V raises interesting questions about the evolving nature of the relationship between analysts’ projections and market action. It could well be increasingly similar to the one with central banks, in which they have flipped from leading monetary policy to becoming more and more hostage to investor sentiment.

V자 패턴을 받아들인 시장의 경제적 합의 속도는 애널리스트들의 예측과 시장의 반응의 근본적인 과정 사이에 대한 흥미로운 질문을 제기한다. 이는 통화정책에서 투자자 심리에 좌지우지되는 중앙은행들과 점점 비슷해질 수도 있다.

 

This possible shift for economic analysts, as opposed to corporate ones, would be a new phenomenon. In the contrasting case of the Saudi attack, for example, they were initially a lot less optimistic than markets about a V when it came to restoring production. At that time, many of them cited the inherent uncertainties and the need to be cautious. Aramco, the Saudi oil company, subsequently surprised the vast majority of analysts with the speed with which it restored full production. This time around, the analysts — like the central banks — quickly mirrored the V market action notwithstanding what most would regard as even greater uncertainty.

기업과는 반대로 경제 애널리스트들에게는 이러한 변화는 새로운 현상이 될 것이다. 예를 들어, 사우디 공격 사례와는 대조적으로, 처음에는 그들은 생산 회복에 있어 시장의 V자 패턴에 훨씬 덜 낙관적이었다. 당시, 이들 중 상당수는 내재된 불확실성과 신중의 필요성을 얘기했다. 사우디의 석유회사, 아람코는 완전한 생산량 회복 속도로 대부분의 애널리스트를 놀라게 했다. 이번에는 대부분이 더 큰 불확실성을 인지하고 있음에도 중앙은행들과 마찬가지로 애널리스트들이 V자 시장의 움직임을 빠르게 반영했다.

 

Part of the growth reassurance that analysts were quick to provide may be due to the fact that the coronavirus outbreak did not produce a sudden stop like the one during the 2008 global financial crisis. But as I have argued earlier, this ignores a fundamental difference between financial sudden stops and economic ones.

애널리스트들이 성장에 대해 안도한 한 이유는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당시처럼 코로나바이러스 발병이 급정거를 만들지 않기 때문일 것이다. 그러나 앞서 주장했듯이, 이것은 재정적 급정거와 경제적 급정거 사이의 근본적인 차이를 무시한다.

 

Because they tend to impact the payments and settlement system, financial sudden stops are felt widely from day one. In contrast, economic sudden stops tend to be much more localized and then, over time, cascade gradually throughout the wider economy. That dynamic is playing out now.

재정적 급정거는 결제와 합의된 시스템에 영향을 미치는 경향이 있기 때문에 첫날부터 광범위하게 느껴진다. 이와는 대조적으로, 경제적 급정거 훨씬 더 지역적인 경향이 있고 시간이 흐르면서 경제 전반에 걸쳐 점점 넓게 확산된다. 그 역동성이 현재 진행 중이다.

 

The virus initially paralyzed economic activity in Wuhan province in China, where it first broke out, but it then disturbed both supply and demand within the rest of China and then outside it. Examples, which are multiplying by the day, include the collapse of sales in China and the decimation of Chinese tourism on the demand side and, on the supply side, the growing disruptions to global supply chains, which could soon force factories to shut down in Europe and elsewhere. Not surprisingly, a growing number of multinational companies are either suspending or reducing their earnings guidance, including Apple, which announced on Monday that it would not meet its revenue guidance because of both demand and supply issues — specifically a decline in Chinese demand and disruptions to the iPhone supply chain.

이 바이러스는 처음에는 중국 우환시에서 경제 활동을 마비시켰지만, 이후 중국 내 다른 지역과 외부의 공급과 수요를 모두 교란시켰다. 하루하루 중첩되는 예로, 중국 내수 판매의 붕괴와 중국 관광 수요 악화, 그리고 유럽 등 각지의 공장들이 문을 곧 닫게 되어 글로벌 공급망의 성장 둔화가 있다. 당연하게도, 점점 더 많은 다국적 기업들이 이익에 대한 의견을 미루거나 축소하고 있는데 애플의 경우, 수요와 공급 문제 특히, 중국의 수요 감소와 아이폰 공급망 혼란 때문에 매출 예상치를 달성하지 못할 것이라고 월요일 발표했다.

 

As long as this dynamic remains uninterrupted, the hope of a V growth recovery will give way to more discussion that the pattern may end up being more of a U, W or L. Should this materialize, the gap between ever-rising prices for risk assets and low volatility on the one hand, and even more sluggish fundamentals on the other, will become even more glaring. And a multiyear rally that once had three powerful engines — attractive valuations, hopes for sustainable better fundamentals and favorable technicals — will rely even more heavily on just one: technicals and, specifically, market confidence in the ability and willingness of central banks to provide ample and predictable liquidity that decouple finance from the real economy.

이러한 상황이 중단되지 않고 유지되는 한, V자 성장 회복에 대한 염원은 U, W 또는 L자 패턴에 더 가깝게 될 것이라는 논의로 이어질 것이다. 이것이 구체화된다면, 위험자산의 가격 상승과 낮은 변동성, 그리고 다른 한편으로는 침체된 펀더멘털 사이의 차이가 더욱 두드러질 것이다. 그리고 매력적인 가치, 더 나아진 지속 가능한 펀더멘털, 그리고 친화적인 정책이라는 3가지 강력한 엔진과 함께 수년간의 주가 상승은 한 가지 엔진에 과도하게 의존적이게 될 것이다: 이는 기술적인 측면과 금융과 실제 경제가 디커플링되어 중앙은행의 예상되는 대량 유동성 공급 여력과 의지에 대한 시장의 확신이다.


https://www.bloomberg.com/opinion/articles/2020-02-17/economists-shouldn-t-treat-virus-shock-like-any-other?srnd=economics-vp

불러오는 중입니다...

 

 

 

관련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