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현재 소득 대비 원리금 상환 부담이 큰 상황
2008년 2분기
중위소득 가구가 서울 중위가격 아파트를 구입할 때
소득의 41%를 주택담보대출 원리금 상환
해당 수준이 전고점
202년 4분기 41%를 넘어서서
2021년 3분기는 50%로 역사상 최고치로
소득 대비 대출 원리금 상환 부담이 어느 때보다 큰 상황이다.
> 서울 아파트 갭투자 비율
2017년 9~12월 18%
2018년 26%
2019년 25%
2020년 26%
2021년 1~7월 40%
원리금 상환 부담이 커졌는데 갭투자를 한다?
~ 매매가가 계속 상승한다?
임대차3법 시행 이후 전세가가 고고행진했고
해당 자금이 주택 매매 자금으로 들어왔을 가능성이 크다.
> 공급은 가격을 하락시킨다
2011~2019년(2020년 제외; 임대차3법 시행으로 시장 왜곡)
해당 구간에서 서울 입주 물량과 전세 시세 상승률간 상관계수는 -0.26
입주 물량이 줄어들면 전세가는 오른다라는 것을 확인되지만
숫자적으로 유의미한 수준은 아니다.
그러나 수도권 아파트 입주 물량과 서울 아파트 전세 시세 상승률간 상관계수는 -0.61
이 말은 즉슨, 서울 아파트 전세가는 수도권 아파트 입주 물량에 영향을 받는다라는 것이다.
2015년 동탄2기 신도시 입주를 시작으로
-> 2017년 1분기 화성시 전세가는 피크아웃
-> 2017년 2분기 경부고속도로를 타고 북쪽에 인접한 수원시 전세가가 피크아웃
-> 2017년 3분기 그 북쪽에 인접한 용인시 전세가가 피크아웃
-> 2018년 1분기 그 북쪽에 인접한 성남시와 서울시 전세가가 피크아웃
수도권의 공급 확대는 인접한 도시에서 도시의 전세가에 영향을 미치고
결국 중심지인 서울의 가격까지 영향을 미친다.
> 계약갱신청구권 8월 이후 재계약 도래
서울내 계약갱신청구권 사용하지 않은 비율 32%
=> 32%는 낮게 형성될 전세가
=> 나머지 68%는 이미 사용했으니 향후 증익될 가능성이 높은 전세가
즉, 8월 이후 평균 전세가는 높은 확률로 올라갈 가능성이 있다.
> 2023년 이후 주택가격 조정기 가능성
2023년 하반기 동남권 중심의 대규모 입주 물량
https://blog.naver.com/bbonggu3/222626254385
향후 서울 부동산 매매가를 결정할 전세가, 그 이유와 추이 전망
삼토시님 글입니다 앞으로의 전세가 추이가 궁금하네요 제목 그대로 향후 서울 부동산의 매매가는 전세가 ...
blog.naver.com
해당 글 참고하여 공부차원에서 정리했습니다.
좋은 글 감사합니다.
[짤막] Top5 반도체 기업의 과점화 추세 (0) | 2022.04.11 |
---|---|
[짤막] 배터리, 니켈 상승의 영향 (0) | 2022.03.16 |
[산업분석 _ 은행/증권/보험] 금융업종 중엔 손해보험사들이 가장 좋아보이는데? (0) | 2022.02.11 |
[펀드 매니저의 시선] 건설사 종목 플레이를 어떻게 할까? 심플하게 (0) | 2022.02.11 |
2013년 테이퍼링 복기 / 건설주를 중심으로 (0) | 2022.02.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