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자의 모든 지식, 오동나라

고정 헤더 영역

글 제목

메뉴 레이어

투자의 모든 지식, 오동나라

메뉴 리스트

  • 홈
  • 태그
  • 방명록
  • 분류 전체보기 (255)
    • 해외뉴스번역 (10)
    • 경제.투자.사회.정치 (244)
      • 시황 (171)
      • 기업.산업.사회 (51)
      • 낙서 (7)
      • 짤막공부 (14)

검색 레이어

투자의 모든 지식, 오동나라

검색 영역

컨텐츠 검색

해외시황

  • 2021-10-05 시황 리포트

    2021.10.05 by 오동나라

  • 2021-10-01 시황 리포트

    2021.10.01 by 오동나라

  • 2021-09-30 시황 리포트 #삼성전자

    2021.09.30 by 오동나라

  • 2021-09-29 시황 리포트 #KCC글라스

    2021.09.29 by 오동나라

  • 2021-09-28 시황 리포트

    2021.09.28 by 오동나라

  • 2021-09-27 시황 리포트

    2021.09.27 by 오동나라

  • 2021-09-24 시황 리포트

    2021.09.24 by 오동나라

  • 2021-09-23 시황 리포트

    2021.09.23 by 오동나라

2021-10-05 시황 리포트

기술주 중심 하락 / 커뮤니케이션 폭락 헝다그룹 거래정지 / 미국 부채한도 협상 불확실성 나스닥 -2.1% / 러셀2000 -0.9% / S&P500 -1.3% / 다우 -0.9% 민주당 3.5조달러 vs 공화당 1.5조달러 낸시 펠로시 하원의장, 1.2조달러 인프라 법안 표걸 10월 31일까지 연기 페이스북(-4.89%) 인스타그램 청소년 유해성 광고 문제 내부고발 유럽, 강력한 디지털서비스법 촉구 / 독점 금지 법안 강화 우려 부각 페이스북, 인스타그램, 왓츠앱 등 전세계적으로 접속장애 비트코인 $49,000로 강세 비트코인 거래량 중국 비중 50% 수준 -> 중국 디지털 화폐 규제 -> 거래량 축소 -> 비트코인 공급 감소 -> 비트코인 강세 위험 선호 심리는 꺾이지 않은 상태 > 선호섹터 리오픈 ..

경제.투자.사회.정치/시황 2021. 10. 5. 07:52

2021-10-01 시황 리포트

다 약세 나스닥 -0.4% / 러셀2000 -0.7% / S&P500 -1.2% / 다우 -1.6% 주간 실업급여 청구건수 전주 362K vs 컨센 335K vs 이전 351K vs 코로나 이전 210K 연속 2,802K vs 컨센 2,800K vs 이전 2,820K vs 코로나 이전 1,700K 시카고 PMI 9월 64.7 vs. 컨센 65.0 > 임시 예산안 상하원 통과 부채한도 상향은 아직 / 10월 18일 디폴트 리스크 부채한도 유예는 인프라 법안과 사회복지 예산안 정치적 입장 대립 민주당 : 1조2000억달러 규모의 초당적 인프라 법안 + 3조5000억달러 규모의 사회복지 예산안 함께 통과 추진 공화당 : 인프라 법안만 주장 > 11월 5일 국민의힘 본 경선 후 대선후보 결정 미분양 역대 최저치..

경제.투자.사회.정치/시황 2021. 10. 1. 08:10

2021-09-30 시황 리포트 #삼성전자

소폭 갭상승으로 시작 / 테크주 약세 / 보합권 마감 나스닥 -0.2% / 러셀2000 +0.0% / S&P500 +0.2% / 다우 +0.3% > 정부 예산 + 부채한도상향 민주당 정부예산안/부채한도상향 동시 처리 추진 -> 공화당 반대 / 상원 부결 -> 오늘 정부예산안만 먼저 분리처리 예정 정부예산 통과안되면 : 10/1 정부 셧다운 부채한도 상향안되면 : 10/18 미국 디폴트 > 마이크론 실적 발표 이후 반도체 관련 전체적 하락 개별 모멘텀 있는 종목으로 접근 필요 미디어(넷플릭스 / 디즈니 관련) / 게임주 / 대북주 등 > 210930 삼성전자 3q 프리뷰 _ 한투 76조원 / 16.4조원 vs 컨센 15.8조원 / 21.5% 반도체 10.1조원(메모리9.5조원, 비메모리0.6조원) / DP..

경제.투자.사회.정치 2021. 9. 30. 07:52

2021-09-29 시황 리포트 #KCC글라스

파월발언 미국 10년물 상승 (1.56%) 부채한도 / 예산안 정치적 논쟁 에너지 가격 상승 테크 숏 나스닥 -2.8% / 러셀2000 -2.1% / S&P500 -2.0% / 다우 -1.6% 미국의 9월 소비자신뢰지수 109.3 va 전월 115.2 vs 예상치 114.9; 모두 크게 하회 향후 소비자 지출 축소 즉 미국 경기 회복이 슬로우 우려 파월 1) 공급망 이슈에 대한 인플레 문제 악화 가능성 있음(제한된 품목에서만 발생) 2) 완전고용 멀었음; (=금리인상 멀었음?) 3) 테이퍼링 요건 충족 됨 마이크론(-2.77% / 시간외 -4.42%) 실적 좋았음 but 가이던스 컨센 하회로 주가 하락 매출 $8.27(yoy+36.6%) vs 컨센 $8.23b GPM 47.9% vs 컨센 47.0% EP..

경제.투자.사회.정치/시황 2021. 9. 29. 07:53

2021-09-28 시황 리포트

중국 ADR 반등 천연가스 신고가 / 원유 75달러 상회 / 에너지 섹터 강세 테슬라 상승 추세 지속 / GM(+1.86%) 포드(+2.96%) 등 자동차 업종 강세 나스닥 -0.5% / 러셀2000 +1.3% / S&P500 -0.3% / 다우 +0.2% WTI 1) 허리케인 아이다 영향에 따른 멕시카 생산 시설 재개 지연 2) 아시아 수요 증가 / 코로나 완화 -> 8월 인도 원유 수입 3개월내 최고치 골드만 삭스, 브렌트유 연말 전망치 기존 80달러 -> 90달러로 상향 조정 천연가스 1) 러시아, 유럽 가스 공급 감축 2) 난방시즌 대비 선투자 수요 3) 중국 전력난 4) 원유 대체제 LNG로 암모니아 생산 -> 암모니아로 질소 비료 생산 -> 질소 비료 가격 상승 -> 곡물가 상승 원자재 강세 ..

경제.투자.사회.정치/시황 2021. 9. 28. 07:47

2021-09-27 시황 리포트

다우 +0.1% / 나스닥 -0.03% / S&P500 +0.15% / 러셀2000 -0.49% 나이키(-6.26%) 1분기(6~8월) 매출 122억5000만달러(약 14조4000억원) yoy+16% vs 예상 124억7000만달러 베트남과 인도네시아 지역의 생산 차질 이슈 테슬라(+2.75%) 머스크, 반도체 쇼티지 조만간(내년) 종료 언급 FSD 베타버전 발표 1조달러(약 1178조원) 규모 인프라 법안 낸시 펠로시 미 하원의장 ABC 방송에서 "이번 주에 법안이 통과될 것으로 확신한다" >진성티이씨(2619억) 210927 유진 한병화 리포트 1) 비중국 비중 70% 이상 2) 미국 주택 건설 경기 호조 / 내년 이프라 투자 가시화 3) 운송비/철강재 등 원가상승분 판가에 전가 중 4) 수소사업 내..

경제.투자.사회.정치/시황 2021. 9. 27. 07:52

2021-09-24 시황 리포트

저가 매수세 유입 / 전체적 강세 다우 +1.48% / 나스닥 +1.04% / S&P500 +1.21% / 러셀2000 +1.82% 9/28 화 : 마이크론 실적발표(장마감후) > 엘앤에프 210924 미래에셋 / 많이 올랐는데 피어 대비 싸서 매수 유지 해야할 것 같은 리포트 [뉴스플로우] 포스코 그룹사인 엔투비는 올해 들어 현대제철, 세아제강, KG동부제철과 자재 구매 협약을 체결 엔투비는 소모성 자재(MRO) 구매를 대신해주는 사업을 한다. MRO라는 게 각종 장비와 기계 등의 유지·보수를 위해 필요하긴 하지만, 상대적으로 중요도가 떨어지다 보니 구매할 때 번거로움을 덜고자 대행업체를 찾는 경우가 많다. https://m.mk.co.kr/news/business/view/2021/09/910313/..

경제.투자.사회.정치/시황 2021. 9. 24. 07:47

2021-09-23 시황 리포트

나스닥 +1.0% / 러셀2000 +1.5% / S&P500 +1.0% / 다우 +1.0% 헝다그룹 위안화 채권 이자 23일 제때 지급 발표 규모 약 425억원(위안화 채권) / 단, 달러화 8350만달러에 대한 지급 여부는 미정 Fedex(-9.13%) 인건비 상승에 따른 분기 이익 감소 및 연간 가이던스 하향 조정 페이스북(-3.99%) 애플 프라이버시 업데이트 이후 타겟 마케팅 효과 둔화 우려 FOMC 1) 기준금리 현행 0~0.25% 동결 2) 매월 1200억달러 채권 매입 지속 3) 파월, 테이퍼링 시점 "조만간" / 구체적 일정 언급 x / 컨센은 11월 4) 파월, 채권매입 축소는 11월 시작 / 내년 여름쯤 종료 언급 5) 파월, 에버그란데 중국에 국한된 이슈 / 미국으로 전염 일축 올해 ..

경제.투자.사회.정치/시황 2021. 9. 23. 07:40

추가 정보

인기글

최신글

페이징

이전
1 ··· 9 10 11 12 13 14
다음
TISTORY
투자의 모든 지식, 오동나라 © Magazine Lab
페이스북 트위터 인스타그램 유투브 메일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