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21031 / SK온, 한투로부터 1조원 조달
1) SK온 3년간 15조원 투자 계획
2) 한국투자프라이빗에쿼티 컨소시엄 - MBK파트너스, 각각 국내외 투자가 중심으로 6000억원 / 4000억원 수준 투자 유치 잠정 확정
한투컨소시엄 = 이스트브릿지파트너스 + 스텔라인베스트먼트 + 한투PE
12월 중순 1차로 투자확약서 예정
내년 1월 초 나머지 투자가들 투자확약서 완료 예정
3) 한투 컨소시엄은 한국투자증권 + 한국투자캐피탈이 3500억원 출자
+ 동원그룹 계열사도 FI 자격으로 수백억원 출자
4) MBK파트너스는 기존 보유했던 스페셜시츄에이션펀드 + 해외기관 공동투자 형태로 4000억 이상 투자 펀드 조성
5) SK온 기업가치 22조원 수준으로 낮춰 진행
기존엔 40조원에서 시작했었고 보통주만 허용했었음
그러다가 30조원으로 낮추고 이어 22조원 수준으로 낮추고 전환우선주(CPS) 형태를 받아드림
기존 기대했던 3조원 규모도 1조원을 약간 넘는 수준으로 유치
최소 보장 수익률도 5.5% -> 7.5%로 올려 진행함
5) 최근 SK온은 금융사 단기차입금 한도를 3.46조원으로 기존 대비 2배 가량 늘림
무역보험공사 등 보증을 받아 유럽에서 총 20억 달러 규모 대출 확보
투자 유치 불발 리스크 대비용으로 추정
6) IRA 관련 배터리 광물 및 원재료 업체와 협력
SK온은 호주 천연 흑연 공급 업체인 <시라>와 MOU 체결
호주 <레이크리소스> 지분 10% 투자하여 고순도 리튬 23만톤 공급받는 계약 체결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11/0004116772?sid=101
[단독] SK온, 한투그룹 투자로 한숨 돌린다…1조 조달 눈앞
SK(034730)그룹의 2차전지 제조사 SK온에서 1년 가까이 추진해온 상장 전 투자 유치가 한국투자금융그룹의 투자 덕에 1조 원 이상 조달을 눈앞에 뒀다. 한국투자금융그룹 계열사가 3500억 원 가까이
n.news.naver.com
> 221031 / 한전 폴란드 민간 원전 수주
1) 2009년 UAE 원전 수주에 이어 유럽 국가 중에선 처음으로 APR1400 한국형 원전을 수출
2) 한국수력원자력(한수원)은 제팍(폴란드 민간발전사)과 폴란드전력공사(PGE)가 추진하는 퐁트누프 원전 프로젝트 LOI체결
한국 정부 - 폴란드 정부, 프로젝트 지원 MOU 체결
한수원 - 제팍 - PGE 3개사가 퐁트누프 지역에 APR1400 기술 기반 원전 건설한다는 내용
3) 폴란드 정부 주도로 추진되는 6~9GW 규모 6기 건설 사업은 웨스팅하우스가 수주
4) 3개사는 올해말까지 예산 / 자금조달 / 예상공정 등 개발 계획 마련 계획
5) UAE 아부다비 서쪽 바카라 지역 원전 프로젝트
2009년 12월 APR1400 4기 / 총 5600MW 용량 수주
한전, 2012년 7월 원전 착공
2021년 4월과 2022년 3월 각각 1호기와 2호기 상업 운전 시작
3호기와 4호기는 2023년과 2024년 상업 운전 개시 예정
6) 폴란드 퐁트누프 한국형 원전
2~4기 건설 예정(1기는 1,400MW 규모) / 총 1.4GW / 20~40조원 규모
2022년 12월 기본계획 수립
2023년 부지조사
2026년 착공
2033년 가동
https://www.yna.co.kr/view/AKR20221031121700003?input=1195m
"폴란드에 한국형 원전 수출한다"…UAE 이후 13년만에 수주 문턱 | 연합뉴스
(세종 서울=연합뉴스) 홍국기 기자 = 한국형 차세대 원자력발전소(원전)인 APR1400의 수출길이 13년 만에 열렸다.
www.yna.co.kr
> 221101 / 신영 / IT 전방 수요 관련
미국 빅테크들 서버 및 클라우드, AI 관련 Capex는 확대 지속
1) 아마존
8월 중동 / 최근 태국 AWS 출시 / AWS 인프라 지속 확대 중
2021년 610억 달러 Capex 비중
- AWS 시설투자 약 40%
- 물류센터 약 30%
- 운송 약 25%
2022E 약 600억 달러 Capex
22E은 물류/운송에서 100억 달러 줄이고
AWS 인프라 투자에 100억 달러 증가 예상
2) 마이크로소프트
2Q23 Capex 증가 지속
3) 구글
서버 기술 인프라 관련 유의미한 Capex 지속 언급
4) 메타
최근 Capex는 대부분 AI 인프라 구축에 기인
장기적으로 매출액 대비 Capex는 감소 전망
22E Capex $320~330억 vs 기존 $300~340억
23E Capex $340~390억 vs 기존 $291억
AI 캐파 확대 / 데이터센터 확대 중심
특히, 23E는 AI 관련 Capex 중심
[짤막] FTX 사건 정리 / 잘하고 있는 현기차 전기차 / 배터리 TAM 밸류에이션 / 천연가스 폭등 우려 지속중 (0) | 2022.11.24 |
---|---|
[짤막] 한국-사우디 교역 / 효성중공업-린데 수소사업 / 데브시스터즈 오븐스매쉬 출시 일정 연기 (0) | 2022.11.15 |
[짤막] 포스코홀딩스 리튬 투자 / 원전 수출 금지 / 반도체 비트그로스 (0) | 2022.10.30 |
[짤막] LS전선 사세 확장 / 이수페타시스 서버 및 신규 고객사 향 확대 / 지오엘리먼트 (0) | 2022.10.24 |
[짤막] 22년 10월 CPI / 3Q22 이차전지 (0) | 2022.10.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