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장전반
나스닥 -3.6% / 러셀2000 -2.0% / S&P500 -3.0% / 다우 -2.4%
미국채금리(10y) : 1.777 (+3.2%)
미국채금리(2y) : 1.5442 (+3.6%)
WTI : $119.7 (+3.5%)
에너지 업종 강세
특히, 수소, 태양광 등 신재생 에너지 종목 및 ETF 강세
퓨얼셀 에너지(+8.82%) / 선런(+9.02%) / 넥스트에라(+4.81%)
3차 평화협정 성과 x
4차 협상 조만간 예정
미국정부가 베네수엘라에 특사 파견으로 유가 상승폭 축소
> 현재 가장 큰 리스크는 유가 폭등
유가가 높은 상태(밸럴당 100불 수준?) 유지되면 리세션 올 가능성 높다고 판단한다.
yoy+50%이상 오르면 100% 확률로 침체가 온다라는 것이 오랜 속설이다.
특히, 한국의 경우 그도 그럴 것이 총 수입 중에 에너지가 과반을 차지하고 제조업 및 시클리컬 산업이 주를 이루기 때문에 에너지 가격 상승에 따른 비용 상승 -> 수요 감소로 이어지는 리스크가 타 국가 대비 클 것으로 예상된다.
2015년 6월 유가 급락에 따른 경기 침체 우려가 제기 되었고 위와 반대되는 논거로 시킹알파에서 유가 급락은 경기 침체를 불러오지 않는다라는 주장을 했다.
결과는 위 그래프를 보듯 침체는 오지 않았고 '유가 급등 = 침체'라는 등식에 무게가 쏠리는 느낌이다.
https://seekingalpha.com/amp/article/3839666-can-commodity-prices-cause-recession
파월도 금리 인상을 하겠다고는 하지만 3월 25bp로 눈치보면서 점진적으로 올리는 느낌임
파월은 폴 볼커만큼 공격적이지 않고 볼커가 핏불이라면 파월은 치와와같은 느낌임
금융섹터 차익실현으로 현금 비중을 늘려봐야겠다.
이차전지 / 게임 / 인터넷 등 한번 해먹은 애들은 당분간 반등한다고 눈길 주면 큰일 날 것같다는 생각
기본적으로 롱바이어스가 있지만 유가 보면서 하방을 2500까진 열어 놓아야하지 않을까
코스피 트레일링 pbr 1배 수준까지
포워드는 2650수준인데 eps 추정치가 낮아지고 있는 국면에서 적절치 않다고 판단함
2022-03-11 시황리포트 (0) | 2022.03.11 |
---|---|
2022-03-10 시황리포트 (0) | 2022.03.10 |
✔️2022-03-07 시황리포트 (0) | 2022.03.07 |
✔️2022-03-04 시황리포트 #한한령 #이차전지 #중국양회 (0) | 2022.03.04 |
2022-03-03 시황리포트 (0) | 2022.03.03 |